공매도 금지,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인가 정치적 고려인가?

안녕하세요. snakestock입니다.

최근 한국 정부가 공매도 금지를 2023년 6월 말까지 전면 금지하기로 결정하면서 공매도 금지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이번 결정이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인지 아니면 내년 총선을 의식한 정치적 고려인지 여부는 아직 뚜렷하지 않지만, 공매도 금지 조치의 영향과 의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교차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 종목 분석 글 보기

해외 주식 종목 분석 글 보기

 

공매도란 무엇인가?

먼저 공매도가 무엇인지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여 현재 갖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후, 주가가 실제로 떨어지면 싸게 구매해서 빌려간 주식을 갚는 투자 방식입니다.

즉, 미리 주식을 빌려서 판 다음 주가가 폭락하면 이득을 얻는 구조입니다.

공매도에는 주가를 합리적 수준으로 조정하고 투자자들의 선택 폭을 넓히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공매도가 과도해지면 주가 하락 폭을 확대시키거나 시장 불안을 초래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죠.

 

“공매도 금지 영향…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 급등”

 

코로나19 사태 이후 공매도 규제 강화

지난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국내 주식시장이 크게 출렁이자, 정부는 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후 올해 5월에 일부 종목에 대한 공매도는 부분 재개되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종목에서 공매도는 불가능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죠.

그런데 최근 들어 금융당국의 감시를 피해 한 투자은행의 불법 공매도가 적발되는 사건이 터지면서, 공매도 제도의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공매도 자체가 주가 약세의 주범이라는 인식이 퍼지기도 했습니다.

전면 금지 연장,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인가

이에 따라 정부는 최근 공매도를 2023년 6월 말까지 전면 금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정부는 이 기간 동안 공매도 제도를 철저히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죠.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시장 안정화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책적 판단으로 보인다는 시각이 많습니다.

실제로 공매도는 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매도 규제 강화가 시장 안정에 기여할 여지는 충분히 있어 보입니다.

또한 현재 경기 회복과 실적 개선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공매도 전면 금지는 주가 상승 추세를 지원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총선 고려한 정치적 결정?

하지만 반면에, 정부의 이번 조치가 다가오는 총선을 의식한 정치적 결정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언론에서는 정부가 1400만 투자자들의 표심을 염두에 둔 조치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또 총선을 앞두고 국회에서 공매도 중단과 관련된 의제가 강하게 밀어붙여지는 모습도 포착된 바 있죠.

공매도 전면 금지가 그동안의 정부 정책 기조와도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잠재우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1400만 투자자 표 의식? 2008년 공매도 금지 후 증시 20% 하락”

 

공매도 금지 맺음말

정부의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시장 안정화 목적인지, 아니면 총선 의식한 정치적 고려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다만 이번 공매도 논란은 공매도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앞으로 공매도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투명하고 합리적인 공매도 제도 마련을 위한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정부도 이번 기회에 공매도 관련 제반 문제점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를 기대해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