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 왜 이렇게 됐을까?

안녕하세요. snakestock입니다.

요즘 장바구니 물가가 왜 이렇게 비싼지 궁금하셨죠? 저도 마트에 갈 때마다 깜짝 놀라곤 합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고물가의 주요 원인

코로나19와 대규모 유동성 공급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들은 통화·재정·금융 정책을 통해 경제에 엄청난 돈(유동성)을 공급했어요. 쉽게 말해, 경제가 무너지지 않도록 돈을 많이 풀었는데, 이것이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코로나로 억눌렸던 소비가 반등하면서 이 효과가 더 커졌어요.

공급망 차질과 수요 회복의 불균형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 생산과 운송에 차질이 생겼어요. 그런데 소비 수요는 빠르게 회복되면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물건은 적게 만들어지는데 사려는 사람은 많아지니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었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유가와 곡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고물가 현상이 더 심해졌습니다. 최근에는 중동 사태로 국제유가가 오를 조짐도 보이고 있어 물가 안정이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요.

 

고물가는 언제까지 계속될까?

주요 예측기관들은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5년 상반기에야 목표수준인 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요. 하지만 KDI에서는 2025년 물가상승률이 1.6%로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밑돌 것으로 예상하기도 합니다.

최근 부산지역 뉴스에 따르면 ‘장바구니 물가’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며, 높은 환율이 이어지고 미국과의 관세전쟁까지 본격화되면 서민들의 고통이 더 길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지표상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 안팎이지만,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훨씬 높은 상황이에요.

 

고물가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물가가 오른 만큼 명목소득이 오르지 않아 실질소득은 오히려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국민 생활이 더 어려워졌습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근로소득 증가율의 격차가 지난 2023년 -0.8%p로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해요.

또한 한국은행이 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3.5%까지 올리면서 고금리 상황까지 겹쳐 소비와 투자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택경기 하락으로 건설투자도 부진해졌어요.

고물가 시대를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가계 부채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물가가 안정되고 금리가 내려가기를 기다리는 동안 현명한 소비 습관을 들이는 것이 도움이 될 거예요.